“예술로 건네는 따뜻한 위로와 확장의 메시지,
17인의 작가가 함께 그린 공감의 여정 창립 1주년 맞은 ‘Beyond ART’ ”
회화 중심의 작품들을 통해 예술의 사회적 역할과 정서적 위로에 대한 깊이 있는 메시지를 전하는 예술 창작 공동체 ‘비욘드 아트(Beyond ART)’가 창립 1주년을 맞아 기념전 《Beyond ART – 17인의 작가가 전하는 위로와 확장의 이야기》를 9월 16일(화)부터 9월 21일(일)까지 대백프라자갤러리에서 개최한다.
‘비욘드 아트’는 2016년 ‘튤립화실’에서 처음 인연을 맺은 작가들이 지속적인 교류와 전시를 통해 형성된 창작 공동체이다. 지난 수년간 ‘Spring Journey’ 전시 시리즈를 함께 이어오며, 예술을 통한 성장과 공감을 나누어 왔다. 2024년, ‘예술을 넘어서’라는 뜻을 담은 Beyond ART라는 이름으로 정식 창립되었으며, 이번 전시는 그 첫해를 기념하는 의미 있는 자리다.
이번 전시는 단순한 작품 발표를 넘어서, 예술을 통한 깊은 위로와 관계의 확장, 그리고 자아 탐색의 여정을 담고 있다. 육아, 상처와 회복, 가족, 존재의 의미 등 작가들이 직접 겪은 삶의 장면들이 작품 속에 녹아 있으며, 현대인의 내면과 정서를 따뜻하게 어루만지는 회화 작품들을 통해 감정의 공감을 이끌어낸다. 작품은 유화, 수채화, 아크릴화, 믹스미디어 등 다양한 매체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 재료의 특징을 살려 삶의 밀도, 감정의 여백, 상징과 상상력 등을 회화적으로 풀어낸다.
참여 작가들의 작품을 살펴본다.
신나래의 「무늬」는 얼룩말의 무늬를 삶의 흔들림과 성장의 흔적으로 풀어내며, 부모와 자녀 사이의 정서적 지지를 은유적으로 전한다. 곽민경의 「꿈꾸는 일상」은 판다 캐릭터를 통해 소박한 행복과 꿈을, 「숨은 그림찾기」는 고양이들의 다양한 모습 속에서 일상 속 기쁨을 발견하는 기쁨을 전해준다. 위선영은 「공존」은 크루아상 곰인형과 다양한 빵을 통해 감정과 따뜻함이 공존하는 일상의 위로를 전달하고, 동시에 자연의 생명력과 균형감을 함께 보여준다. 류승민은 「행복 연습」은 생명과 존재의 빛나는 순간들을 수채화로 포착하며, 각자가 자기만의 행복을 찾아가는 여정을 부드럽게 조명한다. 정소영의 「환대」는 ‘집’이라는 공간이 품은 따뜻한 환영과 기억의 정서를 섬세하게 풀어내며, 보는 이로 하여금 익숙하고 포근한 감정에 젖게 한다. 임문희 「꿈이었을까요?」는 비 오는 날의 미술실을 배경으로 어린 시절의 아련한 기억을 회화적 언어로 감성과 추억이 어우러진 풍경을 그
이번 전시는 바쁘고 복잡한 일상 속에서 잠시 멈춰 서서 내면을 돌아보고, 나와 타인, 그리고 세상과의 관계를 다시 바라보게 하는 시간이 될 것이다. 17인의 작가들이 각자의 삶과 감정을 녹여낸 작품들을 통해, 관람객 역시 자신만의 감정과 이야기를 떠올리며 치유와 확장의 여정을 함께하길 기대한다.[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