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 대구 원로화가회-대구․경북 네트워크전
25/08/24 13:46:39 대백프라자갤러리 조회 36
전시명 2025 대구 원로화가회-대구․경북 네트워크전
작가명 이영륭, 문종옥, 민태일, 박중식 외
전시장소 전관
전시 기간 2025.09.23(화)-09.28(일)

“대구원로화가회 주최로 대구․경북 예술인들의 원류를 찾아서

새로운 화합의 장을 마련하는 뜻 깊은 미술행사 마련”

 

 

 

대구에서 활동 중인 65세 이상 화가들로 구성된 ‘대구 원로화가회’가 주최하고 대구광역시, (재)대구문화예술진흥원, 대구미술협회, 경북미술협회, ㈜대구백화점이 공동으로 후원하는 《2025 대구원로화가회 대구·경북 네트워크전》이 오는 9월 23일(화) 부터 28일(일)까지 대백프라자갤러리에서 열린다. 2009년 창립된 ‘대구 원로화가회’(회장 이영륭)는 2010년 첫 정기전을 시작으로 매년 정기전과 특별전을 개최해 오고 있다. 창립 당시 10명의 회원으로 시작해 현재는 19명으로 원로화가회가 운영되고 있다. 평균 연령 76세인 회원들은 전시뿐 아니라 친교 활동과 미술계 주요 업무에 대해 보탬이 되는 다양한 자문 활동을 펼치고 있다. 올해에는 경북에서 활동 중인 원로화가들을 초청해 지역 간 문화교류의 장을 마련 한다.

 

대구원로화가회는 2010년부터 매년 정기전과 함께 《대구·전북 원로미술작가회전》(2016), 《대구미술의 힘 특별전》(2017), 《대구·부산 네트워크전》(2022), 《대구·광주 네트워크전》(2023), 《대구·경남 네트워크전》(2024) 등을 통해 젊은 예술인 못지않은 열정과 에너지를 발산해 내었다. 올해는《대구·경북 네트워크전》경북권 원로 작가 교류를 통해 지역 간 예술적 연대를 강화하고 미의식과 감성적 교류를 확대하기 위한 특별전이다. 대구와 경북화단의 단면을 살펴볼 수 있는 이번 교류전은 세월이 흐름 속에서도 자신의 창작의식과 예술정신을 올곧게 지켜오고 있는 원로작가들을 만나보는 소중한 시간이 될 것이다.

 

1970년대 산업화와 함께 대구는 섬유·기계산업의 중심지로, 경상북도는 포항제철과 구미 국가산업단지를 중심으로 급속한 성장을 이루었다. 이러한 도시 발전 속에서 1981년 대구는 ‘직할시’로 승격되며 경북과 행정적으로 분리되었고, 미술계 역시 『대구미술협회』와 『경북미술협회』로 나뉘게 되었다. 그러나 대구·경북 미술은 본질적으로 하나의 뿌리에서 출발했다. 일제강점기 이후부터 한국전쟁, 그리고 현대에 이르기까지 두 지역은 ‘영남미술’이라는 큰 줄기 아래 함께 성장해 왔다. 특히 전쟁과 전후 복구 시기에는 작고·원로 화가들의 헌신으로 문화예술의 불씨가 이어졌고, 이를 바탕으로 지역 화단은 ‘한국 근대미술의 메카’로 자리 잡았다.

 

이번 《대구·경북 네트워크전》은 이러한 예술사적 맥락을 되짚으며, 분리된 행정구역 속에서도 이어져온 예술적 연대의 의미를 재조명하는 뜻 깊은 자리다. 대구와 경북의 원로 화가들이 함께 참여해 미술의 흐름과 정신적 유산을 나누는 이번 전시는, 그간 미진했던 교류에 대한 반성과 함께 미래를 향한 공동의 발걸음을 상징한다.

 

현재 한국미술협회에는 약 3만여 명의 미술인이 소속돼 있으며, 이 중 대구미술협회는 약 2,500명, 경북미술협회는 17개 지부 약 2,000명 규모다. 두 지역의 미술 활동 인구는 1만 명 이상으로 추산된다. 이번 교류전은 이러한 인적 기반을 토대로, 예술의 공동 유산을 기념하고 지역 미술의 균형 발전과 상생을 위한 전환점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한편 1974년 시작된 《경상북도 미술전람회》, 1981년 출범한 《대구미술대전》, 그리고 1979년 예총 경북지부와 한국미협 경주지부가 공동으로 설립한 《신라문화제》 등은 지역 미술인의 창작욕을 고취하고 예술 교류의 장을 넓혀 온 대표적 사례다.

 

《대구원로화가회》회원들은 1970-80년대 대구 현대미술계를 주도했던 작가이며, 한국 현대미술의 정통성을 이어온 주역들이기도 하다. 격변했던 한국 근·현대사를 이겨내고, 현대미술의 흐름 속에서 굳건한 창의력과 열정으로 한국미술의 발전을 위해 쉼 없이 노력해온 이들은 아직 식지 않은 뜨거운 가슴을 안고 작품 활동을 이어오고 있다. 그러기에 대구원로화가회 회원들은 언제나 진지하고 열정적인 창작 에너지가 가득하다. 이들은 짧지 않은 한국 현대미술사의 격변기를 온몸으로 이겨내며 오늘의 지역 화단을 일구어내셨기에 그들의 헌신과 노력은 깊은 존경과 찬사를 받아도 부족함이 없을 것이다. 이번 정기전에는 이영륭, 문종옥, 민태일, 박중식, 백미혜, 서근섭, 손문익, 신정주, 신현대, 유재희, 이천우, 장대현, 장이규, 정종해, 조혜연, 조홍근, 주봉일, 최영조 등 18명이 참여한다. 한편 경북 원로화가들은 10여명이 참석할 예정이다.

이전글 박정진 서양화전
다음글 한부희 한국화전